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[Unity]45

[Unity] 읽기 전용 폴더와 하위 파일들을 모두 삭제하기 하위에 있는 읽기 전용 폴더나 파일을 전부 삭제할 수 있는 함수이다. private void DeleteDirectory(string _folderPath) { File.SetAttributes(_folderPath, FileAttributes.Normal); //폴더 읽기 전용 해제 foreach (string _folder in Directory.GetDirectories(_folderPath)) //폴더 탐색 { DeleteDirectory(_folder); //재귀 호출 } foreach (string _file in Directory.GetFiles(_folderPath)) //파일 탐색 { File.SetAttributes(_file, FileAttributes.Normal); //파일 읽기 .. 2020. 5. 3.
[Unity] Camera를 사용하여 World Canvas에 이벤트 전달하기 VR 콘텐츠를 재생할 때, HMD를 착용하고 조이스틱에서 나오는 레이저 포인터를 사용하여 UI를 조작한다. 이 레이저 포인터를 구현하기 위해 학습한 기법을 소개하고자 한다. 본래 Canvas는 마우스 커서로 이벤트(클릭, 호버링 등)를 전달받을 수 있다. 그러나 마우스가 아닌 다른 방법으로 Canvas에 이벤트를 전달해본 경험은 드물 것이다. 이 기법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이벤트 발생 방법에 대한 대략적인 이해가 필요하다. 카메라 상의 마우스의 좌표는 PointerEventData가 담고, 이 좌표로부터 GraphicRaycaster가 발생한다. GraphicRaycaster가 UI와 충돌하면, 충돌한 UI는 BaseInputModule 클래스에 있는 함수들로 이벤트를 전달받는다. 캔버스와 GraphicR.. 2020. 2. 10.
[Unity] 특정 Camera의 화면을 녹화 저장하기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특정 Camera에서 촬영되는 화면을 파일로 저장할 필요가 있었다. 고맙게도 Asset Store에 Unity Recorder라는 에셋이 있어서 원하는 작업을 진행할 수 있었다. 현재는 Package Manager에서 Unity Recorder를 내려받을 수 있다. 일단, 실험을 위해 Cube와 두 개의 Capsule을 Plane위에 올려두었다. Cube는 스크립트를 적용하여, 상하좌우로 5초 간격으로 움직이므로 Capsule들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. 더보기 using System.Collections; using System.Collections.Generic; using UnityEngine; public class Cube : MonoBehaviour { private.. 2020. 1. 29.
[Unity] UI 오브젝트에 마우스가 올려져있는지 확인하기 using UnityEngine; using UnityEngine.EventSystems; //지시문 추가 public class Test : MonoBehaviour { void Update() { Debug.Log(EventSystem.current.IsPointerOverGameObject()); //UI 상에 마우스 올려져있으면 True, 아니면 False } } 2020. 1. 13.
[Unity] SteamVR 연동하기 1. 스팀에서 SteamVR과 Windows Mixed Reality 설치 2. Asset Store에서 'Steam VR Plugin' 플러그인 다운로드 3. 플랫폼을 'Universal Windows Platform' 으로 변경 4. Project → Player → Virtual Reality Supported 체크 5. Windows Mixed Reality 추가하기 6. Steam 전용 'openvr_api.dll' 플러그인을 Assets/Plugins 폴더에 삽입 (폴더 없으면 생성) 7. 'Steam VR Input' 설정을 통해 조이스틱 바인딩(Steam이 실행되어 있어야 한다) 1) 바인딩된 액션 불러오는 변수 예) public SteamVR_Action_Vector2 LeftJoysti.. 2020. 1. 8.
반응형